요양보호사 급여 시급 계산, 월평균 얼마일까

요양보호사 급여 및 시급은 근무하는 센터나 근무 방식, 추가 수당 등이 더해져서 결정됩니다. 요양보호사의 월평균 급여 수준을 살펴보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요양보호사 전망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수요는 앞으로 더 높아질 전망입니다.

특히, 오는 2025년부터는 요양보호사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27년도가 되면 실제로 필요한 요양보호사 수보다 약 7.5만명이나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요양보호사의 급여와 시급은 얼마일까요.

2. 요양보호사 시급

요양보호사 시급은 최저 시급에 연차나 주휴수당 등이 더해져 계산되는데, 이를 모두 종합하면 2024년 기준 요양 보호사의 시급은 약 1만 2천원에서 1만 3천원 수준입니다. 물론, 근무하는 센터나 기관에 따라서 최저 시급 이상 주는 곳들도 많습니다.

취업사이트를 살펴보면 현재 요양보호사 시급으로 어느정도를 지급하고 있는지 대략 살펴보실 수 있는데,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월급으로 보면 약 200만원에서 250만원 정도가 가장 많고, 센터와 지역에 따라서 300만원 이상을 지급하는 곳들도 있습니다.

3. 요양보호사 급여 구분

요양보호사는 근무하는 곳이나 근무 방식에 따라서 급여가 달라지게 됩니다. 크게 보면 시설급여와 재가급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야간보호센터나 노인요양시설과 같은 시설에서 근무할 수 도 있고, 수급자의 가정에 방문해서 목욕이나 간호, 신체 활동 등을 지원하는 방문 요양 근무의 형태를 갖기도 하기 때문에 급여 책정 방식은 조금씩 다르게 적용됩니다.

만약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한다면 장기요양수가에 따라서 급여가 정해지게 됩니다. 또한, 수급자 가정에 방문하는 경우 교통비용도 지원이 되고 장기 근무 시에는 장기 근속 장려금도 나오기도 합니다.

특히, 방문요양보호사의 경우는 다른 급여종류와 달리 시급으로 급여가 책정이 됩니다. 때문에 하나하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4. 요양보호사 추가 수당

요양보호사 급여에는 기본 시급 외에 주휴수당과 연차수당 등과 같은 추가 수당이 붙습니다.

주휴수당은 보통 시급에 0.2를 곱해서 계산하는데, 일주일 5일 이상, 하루 3시간 이상 근무시에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연차수당은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한 비용을 말하는데 방문요양보호사의 경우는 포괄시급에 포함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요양보호사는 연차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시급에 포함을 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돌봄 필요도가 높은 1,2등급의 중증 재가 수급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 요양보호사의 경우 일 3천원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게다가 선임 요양보호사가 된다면 이에 대한 추가 수당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5. 방문 요양 보호사 급여 계산

◾ 방문요양보호사 포괄시급

재가방문 요양보호사의 시급은 포괄시급제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인 급여 지급 방식을 보면 최저 시급에 추가로 주휴수당이나 연차수당이 따로 나오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하지만, 방문요양보호사는 업무 특성상 이를 모두 시급에 포함한 포괄 시급으로 지급됩니다. 즉, 연차수당과 주휴수당을 따로 지급하는 것이 아닌 시급 단위로 계산해서 최저 시급에 포함시켜 지급받게 됩니다.

앞에서 살펴본 내용들을 종합해보면 방문요양보호사의 급여 및 시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물론, 최저 시급 이상을 지급하는 곳들도 많지만, 계산을 위해 최저시급을 적용했습니다. 이를 모두 종합하면 약 12,400원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최저 시급 : 9,860원
  • 주휴 수당 : 최저시급(9,860원)*0.2 = 1,972원
  • 연차 수당 : 1년 연차수당/1년 근무시간 = 567원

요양보호사 급여 및 시급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방문 요양보호사는 포괄시급으로 적용되며, 근무하는 형태나 센터에 따라서 급여 차이는 있지만, 보통 200만원 초중반대의 월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