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한달 180만원 최대 금액 받는 방법 실수령액 조회하기

실업급여 한달 180만원 최대 금액 받는 방법

실업급여 한달 180만원은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는 하한액이 적용된 금액입니다. 실업 급여 수급액은 직전 평균 임금의 60%로, 상한액과 하한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실업급여 한달에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최대 수령액은 어느정도인지 자신의 급여를 기준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 한달 수령액 기준 및 계산 방법

  • 실업 직전 평균 임금의 60%
  • 하루 최대 상한액 : 66,000원
  • 하루 하한액 : 최저임금*80%*소정근로시간

실업급여는 실업 직전 평균 임금의 60%입니다. 퇴직 전 3개월의 세전 급여를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실업급여에는 최대 상한액과 하한액 기준이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실업급여 하루 최대 상한액은 66,000원,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에 소정근로시간을 곱해서 계산됩니다. 하루 8시간의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본다면 하한액은 최저임금(9,860원)*80%(0.8)*근로시간(8시간)을 곱해서 63,104원이 됩니다. 실상 하한액을 적용받으면 한달 실업 급여 수급액은 63,104원*30일을 곱해 189만원 이상이 됩니다.

    실업급여 한달 180만원 이상 나오는 경우

    실업급여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이 되기 때문에 만약 한달 180만원을 받는다고 하면 여러가지 조건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몇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달 300만원 버는 A라는 사람은 평균 임금의 60%를 적용받아 180만원을 받았습니다. 반면, 한달 200만원이 안되는 180만원 버는 B라는 사람은 하루 하한액을 적용받아 180만원을 받았습니다. 두 사람의 한달 급여 차이는 100만원 이상이지만, 실업급여 수급액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실업급여 하한액을 적용받았기 때문입니다.

    실업급여 하한액 적용 기준 및 비율

    실제 실업급여 수급자 분들 중 약 71%가 실업급여 하한액을 적용받았다고 합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실제로 실업급여를 수급하는 분들 중 대부분이 월 평균 300만원 미만의 월급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실업급여는 실업 직전 평균 임금의 60%가 적용되지만, 만약 이 60%가 최저임금의 80%로 계산되는 하한액에 미치지 못할 경우는 60%가 아닌 하한액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앞에서 살펴본 B라는 사람의 경우가 바로 이 경우입니다. 한달 180만원 월급을 받는 사람이라면 60% 적용시 한달 108만원을 실업급여로 받아야 하지만, 하한액을 적용받아서 180만원 이상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실업급여 하한액은 최저임금에 영향을 받습니다. 매년 최저임금이 인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매년 실업급여 하한액 적용 실 수령액도 증가하게 됩니다.

    실업급여 최저 실수령액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소득이 아무리 적더라도 실업급여 하한액을 적용받기 때문에 최저 실수령액은 189만원(2024년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한액 적용 한달 180만원 계산 방식

    실업급여 하한액 적용 한달 180만원 계산되는 방식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처음부터 글을 읽으신 분들이라면 복습차원에서 천천히 읽어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한달 180만원을 받는다는 것은 실업급여 하한액 하루 일당 60,120원(2022년 기준)을 적용받은 경우입니다.

    먼저, 실업급여는 퇴직 직전 3개월동안 받았던 급여(세전)의 60%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때 하루 단위로 평균 일당을 계산해보시면 되는데요.

    만약 내가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받았던 급여를 하루 일당으로 계산해보니 10만원이라고 했을때, 실업급여에 적용되는 하루 일당 기준은 10만원의 60%, 6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구직 실업급여 1일 금액에는 하한액과 상한액이 존재합니다. 내가 억대 연봉자였거나 최저임금을 받고 아르바이트를 하던 사람이었던지 상관없이 바로 이 하한액과 상한액이 적용됩니다

    억대 연봉자처럼 평균임금이 높았던 분들은 상한액이 적용될 것이고, 반대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최저 임금을 지급받으셨던 분들이라면 하한액이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한달 180만원 계산

    1일 상한액과 하한액은 하루 평균 소정 근무시간 8시간을 기준으로 했을때 하한액은 63,104원, 상한액은 66,000원이 됩니다.

    만약 1일 하한액 63,104원 적용된다면 한달 30일을 곱해 약 189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180만원을 넘어 200만원에 가까워집니다.

    여기서 1일 하한액은 최저 임금의 80%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한액을 적용받았다는 것은 퇴직 전 내 평균 임금의 60%가 최저 임금의 80% 이하라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실업급여가 이처럼 최저 180만원을 훌쩍 넘기 때문에 아르바이트에 못지 않는 수준이 되기도 합니다. 1인 가구이신 분들이라면 결코 적은 수준이 아닙니다. 때문에 잠깐 일하고 실업급여를 수급받고를 반복하는 부작용등이 많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실업 급여 최대 금액 수급 조건

    물론, 하루 최대 상한액을 적용받고 최대 기간(270일) 동안 실업급여를 수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실업급여 최대 금액을 수령하게 되는데, 이처럼 최대 금액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첫번째, 먼저 급여 일수를 최대로 인정 받아야 합니다. 급여일수는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어느정도 나이가 있고, 오랫동안 근무해야 가능합니다. 나의 고용보험 가입 기간 조회하기를 통해서 내가 인정받을 수 있는 급여 일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두번째, 자신의 하루 일당이 11만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실업 급여 하루 최대 상한액을 적용받기 위함입니다. 만약 퇴직전 1일 평균 임금의 60%가 1일 상한액 66,000원을 초과한다면 상한액을 인정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즉, 자신의 하루 일당 수준이 11만원일 때 60%가 66,000원이기 때문에 이 이상의 하루 급여를 받고 근무했어야 합니다.

    위의 2가지 조건을 갖추게 된다면 실업 급여 수급시 최대 금액을 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실업급여 실수령액 조회

    실업급여는 위와 같은 계산에 의해서 결정되기에 직접 계산을 해보면 알 수 있지만,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모의 계산을 이용하시면 실급여액을 더 쉽게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모의계산 홈페이지 접속 후 주민등록번호 앞 6자리와 장애인 여부, 고용보험 총 가입개월 및 1일 소정 근로시간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시고 월간 평균임금을 입력하시면 내가 받게되는 실업급여가 어느정도인지 조회해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이 어려우신 분들도 쉽게 따라하실 수 있으니 위의 순서와 방법대로 내가 받게되는 실업급여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미리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모의 계산인만큼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에 대략적인 금액 정도만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